2014.02.19 13:29
Swap 메모리 늘리기
Swap메모리는 주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와 같은 공간을 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한
가상메모리이다.(윈도우에선 가상메모리라고 지칭함)
swap영여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Swap 파일 생성
2. Swap 파티션 구성
2가지 방법중 1번 방법으로 swap 메모리 늘리는 방법 입니다.
1. Swap 파일 생성
1) swapon –s, free //메모리 용량 확인
2GB의 swap 메모리 영역이 확인됩니다.
스왑 메모리로 사용 할 파일을 생성합니다.
2) dd if=/dev/zero of=/home/swapfile bs=1024 count=100000 // 1G 의 파일 생성
dd if=/dev/zero of=/root/swapfile bs=1024 count=4000000 // 4G의 파일 생성
3) mkswap /swapfile // swap 파일로 포멧
4) swapon /home/swapfile // swap 파일을 스왑공간으로 활성화
생성한 swap 파일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리부팅을 하게되면 비활성화 되기 때문에 부팅 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rc.local에 등록한다.
5) vi /etc/rc.d/rc.local
swapon /home/swapfile // 내용 추가
6) Swap파일 삭제
Swap 파일 더 이상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swapoff /home/swapfile 하여 비활성화 후 해당 파일을 삭제하면 됩니다.
#swapoff /home/swapfile
#rm /home/swapfile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7 | 리눅스에서 2테라 이상 마운트하기 gpt | 소울 | 2014.06.10 | 12096 |
76 | > (재지향기호) | 소울 | 2014.05.22 | 8942 |
75 | cron 실행 결과메일 받지 않기 | 소울 | 2014.04.29 | 10625 |
74 | ulimit | 소울 | 2014.04.29 | 9006 |
73 | openssl 취약점 확인 주소 | 소울 | 2014.04.29 | 9161 |
72 | ssh 접속시 메시지 뿌리기 | 소울 | 2014.04.29 | 9072 |
71 | 커널 bit 확인 getconf | 소울 | 2014.04.29 | 9101 |
70 | 로그인 성공한 아이피 목록 보기 | 소울 | 2014.03.31 | 9094 |
69 | 리눅스 스트리밍 서버 설치 | 소울 | 2014.03.31 | 9467 |
68 | 커널 bit 확인 getconf | 소울 | 2014.03.31 | 9017 |
67 | 연산자 | 소울 | 2014.03.23 | 9328 |
66 | chattr로 파일 속성 관리하기 | 소울 | 2014.03.06 | 9000 |
65 | 리눅스 device 정보 DMIDECODE | 소울 | 2014.02.27 | 9081 |
64 | 메모리 슬롯/사이즈 확인 | 소울 | 2014.02.27 | 8948 |
63 | 리눅스 한글출력 | 소울 | 2014.02.19 | 9221 |
62 | openssl 설치 | 소울 | 2014.02.19 | 9032 |
61 | top 자세한 설명 | 소울 | 2014.02.19 | 8895 |
60 | crontab 실행후 발송메일 설정제거 | 소울 | 2014.02.19 | 9787 |
59 | 리눅스 date 시간설정 | 소울 | 2014.02.19 | 18040 |
» | Swap 메모리 늘리기 | 소울 | 2014.02.19 | 8686 |